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라즈베리파이 메모리
- 라즈베리파이 회로
- SWIFT
- 라즈베리파이 led
- 제트팩 컴포즈
- 네트워크프로그래밍
- 프로그래밍뷰
- 디자인 패턴
- 포트넘버
- java 실행과정
- 개방폐쇄 원칙
- 자바 소켓통신
- static 맴버 로딩
- Xcode
- qualcomm ai hub
- 절차 지향 언어
- 라즈베리파이
- 라즈베리파이 os
- 안드로이드
- java 클래스 로딩
- 라즈베리파이 개발환경
- jetpack compose
- rubikpi
- ios
- 객체 지향 언어 vs 절차 지향 언어 차이점
- autolayout
- 2025 정보처리기사
-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
- numpy
- ondevice ai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38)
From_Base
📝 현행 시스템 분석 & 파악 절차 3단계내가 무턱대고 최신 기술을 사용해서 sw프로그램을 만들어서 회사에 넘겨준다고해도, 해당 회사의 시스템이 구형이라면 큰일. sw를 개발할때, 이 회사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- 하는일이 뭔지 - 여기에 어떤 컴퓨터가 설치되어있는지 - 어떤 인터넷 쓰는지 데이터베이스는 뭐쓰는지 등 분석을 해야함. 즉, 새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개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현행 시스템의 구성과 제공 기능, 시스템 간의 전달 정보, 사용되는 기술 요소, 소프트웨어, 하드웨어, 그리고 네트워크 구성 등을 파악하는 것 = > 현행 시스템 파악 1단계시스템 구성 파악 (회사에 가서 시스템 파악: 수출하는 업체인지, 무슨 업무하는 업체인지)시스템 기능 파악 (주요기능, 하부기능,세부기능으..

📝 sw의 특징- 상품성 - 복잡성- 변경 가능성- 복제성 📝 시스템의 개요와 기본 요소시스템?- 하나의 컴퓨터 조직. 하나의 목적을 위해 여러 컴퓨터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 시스템 기본 요소- 입력, 처리, 출력, 제어, 피드백 📝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(sw 개발&유지보수 등 작업들을 수행하는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표준화 해놓은 일종의 방법론)의 바탕이 된다. sw 개발을 하는 개발자에게 의뢰자가 ~~sw를 만들어주세요 의뢰를하면서 ~~이런이런 기능들이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요구사항들을 말해줄텐데, 이 요구사항들을 분석하고 설계 후 -> 그 설계에 맞는 sw를 개발. 개발하고나서 끝이 아니라, 개발된 그 sw가 항상 최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끔 운용,유지보..

라즈베리파이 실습 및 개발과정에서 putty 및 리눅스 터미널을 통해 시스템을 조작하고, vi editor로 코딩을 하다보면 굉장히 번거롭고 가시성이 떨어진다. 이를 위해 putty를 통해 원격 터미널로 작업하는 경우 & 리눅스 터미널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vim 에디터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권장한다. 물론 이보다 가장 편한 방법은, VSCode를 통한 원격 개발환경이다. vim 설치: 빔(vim)은 vi 편집기의 향상된 버전으로(vi improved), 기존 vi보다 향상된 기능을 가지고있다. vim 설치는 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.sudo apt-get install vim vim을 설치한 후, 일련의 설정을 해주어야 부가 기능들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.아래 명령어를 통해 홈 ..

라즈베리파이 os 구축부터 전체적인 개발환경 setting까지 정리해보고자 한다. 1. Raspberry Pi Imager 다운로드 & 실행 우선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에,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 설치 프로그램인 Imager를 다운로드받고 실행해준다. 실행시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나타나는데, 이때 디바이스 섹션에서는 현재 보유한 라즈베리파이 기종( 본 프로젝트에서는 라즈베리파이4B 2gb 모델이다)을 선택해준다. 그 다음 섹션인 운영체제의 섹션의 경우, 선택한 기종에 맞는 추천된 os들이 리스트로 나타나는데, 그 중에서 최 상단에 위치한 Bookworm 64-bit os 를 선택해준다. 하단 이미지에 보이듯이 Recommended로 자동 추천해준다. 이때 os를 선택하는 부분에 있어서 중요한 것..

📌 행렬 병합/연결 concatenate : 행렬에 행 또는 열 추가하기 NumPy에서 행렬에 행 또는 열을 추가하고싶다면 numpy.concatenate(A,B) 와 같이 concatenate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.기존행렬에 재료행렬을 병합함으로써 기존 행렬에 행이나 열을 추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.C = numpy.concatenate( (A, B), axis = n ) 이때 concatenate의 첫번째 매개변수는 (병합 대상 행렬, 병합시킬 행렬)로 이루어진 튜플이고. 두번째 매개변수는 axis로, 병합의 축을 설정하는 매개변수이다.행렬 병합의 경우 axis값은 0 or 1로, axis=0 인 경우 병합의 축이 행으로 설정되어 - > 행 방향으로 연결, 즉 행렬의 하단에 행렬이..

📌 행렬 곱 dot product : NumPy에서 행렬 A,B간의 행렬 곱을 수행하려면 numpy.dot(A,B) 와 같이 dot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. C = numpy.dot(A,B) 이때 dot product의 조건으로, 앞의 행렬인 A 행렬의 열 벡터와 뒤의 행렬인 B 행렬의 행 벡터가 같아야만 행렬 곱이 가능하다.즉, 앞부분의 열과 뒷부분의 행의 크기가 동일해야한다. 행렬 A: shape이 (m, n) 인 행렬. 즉, m개의 행과 n개의 열을 가진 행렬행렬 B: shape이 (p, q) 인 행렬. 즉, p개의 행과 q개의 열을 가진 행렬A x B 행렬 곱 결과인 행렬 C: shape이 (m, q) 인 행렬이 연산 결과로 도출된다. C = (A의 행 개수, B의 열 개수) 행렬 곱셈 ..

넘파이? 왜 사용할까 넘파이 라이브러리는, 파이썬을 이용하여 머신러닝/딥러닝을 개발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넘파이는 우리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구현할때 자주사용하는 벡터, 행렬 등을 표현하고 연산할 때 반드시 필요한 라이브러리이다. 행렬 연산에서의 numpy vs list: 특히나 넘파이를 이용한 행렬(matrix) 연산을 하는 경우, 넘파이는 외형적으로는 리스트 자료구조와 비슷해보인다.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? 아래처럼 2차원 리스트 A와 B로 행렬을 선언한 다음 이 둘을 더하면 행렬 연산인듯 싶지만, 이는 그저 리스트 간의 연산일 뿐이다. A = [ [1,0], [0,1] ]B = [ [1,1], [1,1] ]A + B #이는 행렬 연산이 아닌 그저 리스트..

💡 LED: 발광다이오드 LED는 전류를 가하면 빛을 발하는 소형 반도체 소자이다. LED는 2개의 다리를 가지는데, 긴 다리(+극)에서 짧은 다리(-극) 방향으로 전류가 흘러야 빛이 발생한다. 긴 다리(+)는 양극, 즉 p형 반도체로 전자가 부족한 상태짧은 다리(-)는 음극, 즉 n형 반도체로 전자가 풍부한 상태전자는 (-)극에서 (+)극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(전자가 많은 곳에서 적은 곳으로 이동)전류의 방향은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. 즉, 전류는 (+)극에서 (-)극으로 흐름양극(+)에 전압을 가하면, 양극의 전자 부족 현상이 심화되어, 음극(-)의 전자를 더욱 강하게 끌어당기게 됨즉, 양극(+)에 전압을 가하면 양극 -> 음극으로 전류가 쫙 흐르게되는 것. 따라서, LED의 긴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