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포트넘버
- 개방폐쇄 원칙
- rubikpi
- jetpack compose
- 제트팩 컴포즈
- 라즈베리파이 메모리
- 안드로이드
- 라즈베리파이 개발환경
- java 실행과정
- 라즈베리파이 led
- qualcomm ai hub
- 네트워크프로그래밍
- 디자인 패턴
- 절차 지향 언어
- 라즈베리파이
- ondevice ai
- 프로그래밍뷰
- 라즈베리파이 os
- Xcode
- autolayout
- java 클래스 로딩
- numpy
- 자바 소켓통신
- 2025 정보처리기사
-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
- static 맴버 로딩
- 라즈베리파이 회로
- ios
- SWIFT
- 객체 지향 언어 vs 절차 지향 언어 차이점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38)
From_Base

Singleton PatternEx"A 클래스의 객체를 하나만 생성해야 하는데 좋은 방법 없을까?"=> Singleton 패턴을 적용시켜보자. 싱글톤 패턴이란?Singleton is a creational design pattern that lets you ensure that a class has only one instance싱글톤은 클래스당 오직 하나의 객체 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객체를 어디서든(타 클래스 인스턴스들)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생성 패턴이다.즉, 단 하나의 유일한 객체를 생성해내기위한 패턴이다. 싱글톤 패턴 왜 사용하나? 메모리 절약 & 속도 이점 & 데이터 공유 용이 싱글톤 패턴은 클래스당 단 하나의 객체만을 생성해내는 코드 패턴이다.그렇기에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는 객체일경우, 싱..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여러 객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SW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SW 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+ 실세계의 일들을 객체들의 집합으로 보다 쉽게 표현하기위해 등장한 프로그래밍 페러다임입니다. 대표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= JAVA 여기서 객체란 자동차 - 사람 - TV 등 우리 실생활 내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일컫는데, 예를 들어 사람은 이름 - 나이 - 신장 - 몸무게 등 다양한 특성들을 가진채 태어난 하나의 객체이며 이 각 인간이라는 객체는 "말한다" - "먹는다" - "걷는다" 등과 같은 다양한 행동 및 기능들을 가지고 있습니다. 여기서 인간의 특성들을 객체의 필드(맴버 변수) - 인간의 행동 및 기능들이 메서드(맴버 함수)가 ..
일기 보기 저장 보기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해두기때문에, 오늘 날짜를 수정해서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해두면 각기 다른 날짜로 일기를 쓸 수 있다.
선의 굵기와 선 색을 선택하고 마우스 드래깅으로 캔버스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작성해보자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깅하여 그림을 그려 보세요 선굵기: 선색: 지우기 : 지우기 다음 문제인 9번 문제의 경우, 8번 문제의 onmousedown 리스너를 onmouseover 로, onmouseup 리스너를 onmouseout 으로 변경해주면 된다. 마우스를 누른 채 드래깅하여 그림을 그려 보세요 선굵기: 선색: 지우기 : 지우기 " data-ke-type="html">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
이전에 말했듯이 네트워크는 서로다른 기기들이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전달 및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연결망입니다. 그러면 이러한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다른 기기로 전달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걸까요? 먼저 네트워크의 특정 구성 요소들을 알아봅시다. 1. 패킷 우리 컴퓨터에 존재하는 이미지,영상 등등은 파일형태로써 컴퓨터상에 데이터로 존재합니다.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들을 한번에 전송하거나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엔 데이터 전송 효율성이 떨어지겠지요? 그렇기에 네트워크 상에서는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데이터를 조각내어 전송하게 됩니다. 이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한것이지요. 그리고 데이터를 송신받는 기기의 입장에서는 이 패킷들이 다시 하나의 데이터로 합체되어 수..
※"네트워크"란? 오늘은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과 인터넷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을 서술해보겠습니다. 네트워크란, Net + Work 의 합성어로 컴퓨터,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른 디지털 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구조를 말합니다. 어느 나라, 어느 지역에 거주하고있던 네트워크를 통해 sns 및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서로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현대 시대. 이것은 인터넷의 발전과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으로 인한 결과물입니다. 네트워크를 이곳저곳에서 굉장히 많이 들어보았지만, 정확히 이것이 무엇인지-어떠한 형태인지 알아본 경험은 적을 것입니다. 네트워크는 일종의 구조 또는 형태입니다. 네트워크는 여러 노드(pc,서버ㅡlap top)들이 상호 연결되..